지카바이러스.바로알기. > 자료실

  • 임직원
  • 방역기구
  • 차량
  • 방역기구
  • 차량

방역시스템

자료실

홈 > 방역시스템 > 자료실

지카바이러스.바로알기.

작성자관리자

  • 등록일 17-07-19
  • 조회4,816회
  • 이름관리자

본문

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현황[바로가기]

개요

1947년 우간다 붉은털원숭이에서 바이러스가 최초로 확인되었고, 인체감염사례는 1952년 우간다와 탄자니아에서 처음 보고

질병 특성

원인 병원체

뎅기, 황열 바이러스와 동일한 Flavivirus 계열

감염 경로

  • (주된 전파) 숲모기*에 의한 전파로 감염되며 감염자와 일상적인 접촉으로 감염되지 않음
    * 이집트 숲모기(Aedes aegypt)가 주된 매개체이나 국내 서식하는 흰줄 숲모기(Aedes albopictus)도 전파 가능
  • (수혈 전파) 관련 문헌 보고는 없지만 잠재적으로 수혈에 의한 전파 가능성 제기
  • (성접촉에 의한 전파) 성접촉 때문에 감염되었을 가능성 있는 사례 보고 있으며, 감염회복 후 2주까지 정액에서 바이러스 확인

임상적 특징

  • (증상) 특징적인 증상은 반점구진성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러운 발열이고, 관절통, 결막염, 근육통, 두통이 동반될 수 있음
  • (기간 등) 증상은 3~7일 정도 가볍게 진행되며 약 80%는 불현성 감염
  • (합병증) 지카바이러스 감염증가로 인해 소두증 신생아 출산 증가와 길랭-바레 증후군 증가 경향이 보고되고 있으나 원인 여부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 중임

진단과 치료

  • (진단) 혈청 RT-PCR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하여 확진하며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확진 가능
  • (치료)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, 증상이 있을 경우 진통제, 해열제 치료 가능. 뎅기열의 경우 아스피린 또는 소염진통제 치료시 출혈 부작용 나타날 수 있어, 복용자 배제 진단 우선 필요

예방법

  • 귀국한 뒤 2주 이내 의심증상(발진을 동반한 관절통/관절염, 근육통 또는 결막염)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해 주세요.
  • 의료기관 방문 시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여행력을 알려 주세요.
  • 귀국 후 1개월 간 헌혈을 금지해 주세요.
  • 성접촉에 의한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잠정적 권고안입니다.(2016.10.11)
  • 방문자는 남녀 모두, 증상에 상관없이 귀국후 6개월동안 임신 연기,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
  • 방문자의 배우자가 임신중인 경우, 임신기간 동안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
  • 확진환자는 회복 후 6개월 동안 임신 연기,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
  • 성전파 예방 권고안은 새로운 근거가 확인되면 변경 가능함
  •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해 주세요.
  • 야외 외출시에는 긴팔 상의와 긴바지 의류를 착용하고, 모기는 어두운 색에 더 많이 유인되므로 가능한 밝은 색 옷을 착용
  • 모기 기피제는 허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노출된 피부나 옷에 엷게 바르고, 눈이나 입, 상처에는 사용하면 안됩니다.
  • 기타 모기 퇴치 제품 사용시 주의사항 확인 후 사용해 주세요
  • 지카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, 기타 궁금한 사항이 있을때는 질병관리본부 콜센터(국번없이 1339) 또는 보건소로 연락주세요
그림자 하단 바
본점.사옥 :경기도 오산시 밀머리로 64 다짐프라자 209호.신세기방역(자가) :소독신청: 1588-5725. 본점.1번. 지점2번.
개인정보관리책임자 :전 제선 sa8025@nate.com 031-372-5779.홈피담당자: 전경표.이명희.모바일.신세기방역
사업자번호:126-19-70265 (등록 :1996 년4월1일) 소독업: 4000018-00001호.위생관리.제65호
통신판매신고:제2014-0130호.해충방역.전문업체.

Copyright ⓒ 신세기방역 All rights reserved.

관리자로그인 현대이지웹 바로가기